안경사 정보(국가고시, 연봉, 자격증 등)

안경사 관련 정보를 모아봤습니다!

안경사란 무엇인지, 연봉은 얼마나 받을 수 있으며 앞으로의 전망은 어떤지 핵심만 짚어봤습니다. 또한 안경사 자격증은 국가고시로서 취득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시험일정이나 시험과목, 응시자격 등 상세정보를 통해 안경사를 희망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안경사(Optician)란?


안경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정의하는 안경사란 안경(시력보정용에 한정)의 조제 및 판매와 콘택트렌즈(시력보정용이 아닌 경우 포함)의 판매를 주된 업무로 하는 사람으로, 고객에게 안경 및 콘택트렌즈를 처방하고 맞추어 주며, 시력 보조구의 사용법을 알려주는 자를 말합니다.

우리가 안경점에 가면 응대를 해주는 분들이 안경사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안경사 연봉

2021년 기준 안경사의 평균 연봉은 4,030만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연차의 구분을 두지 않고 급여를 받는 안경사를 통틀어 낸 기준으로 단순 참고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대졸 초임의 안경사의 평균 연봉은 2,930만원 선으로 월급 실수령액은 210만원 정도로 예상됩니다.

안경사의 경우 급여를 받는 직원은 연봉이 높은편은 아니라고 보여지며 개인사업(안경점 개업)을 해야 고연봉을 노려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안경사 전망

안경사는 매년 꾸준한 전문가를 배출하고 있고 2025년 약 2만 2천 여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때문에 안경사라는 직종이 가뜩이나 연봉이 높지가 않은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자격증을 취득할 메리트가 떨어지는거 아니냐고 보는 시각이 있습니다.

반대로 기술의 발달(3D 프린트)로 개인 맞춤형 안경전문점(고가의 커스텀 안경)의 유행으로 개인사업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안경사 국가고시 시험

응시자격

  • 취득하고자 하는 면허에 상응하는 보건의료에 관한 학문을 전공하는 대학, 산업대학 또는 전문대학을 졸업한자(※복수전공 응시 불가)
  • 외국에서 위 학력과 동등이상의 학문을 전공, 이수하고 해당 의료기사 등의 면허를 받은자
  • 1988년 5월 28일 당시 의료기사법 부칙(제3949호, 1987.11.28) 제2조에 따른 안경업소에서 안경의 조제 및 판매업무를 행한 자에 한함.


원서접수

[방문접수 대상자]를 제외하고 인터넷 접수가 원칙




시험일정

  • 원서접수 : 23년 09월 06일~13일(응시표 11월 08일부터 출력가능)
  • 시험시행 : 23년 12월 16일
  • 합격발표 : 24년 01월 04일



시험과목

필기 3과목 : 시광학이론(85문항), 의료관계법규(20문항), 시광학응용(85문항)

실기시험 1 : 시광학실무에 관한 것(실기시험도 객관식으로 진행 60문항)


시험시간


구분1교시2교시3교시
문항수시광학이론(85)의료관계법규(20)
시광학응용(85)
실기시험(60)
시험방식객관식
입장시간~08:30~10:30~12:35
시험시간09:00~10:15(75분)10:45~12:15(90분)12:45~13:45(60분)

합격기준

필기시험 매 과목 4할 이상, 전 과목 평균 6할 이상 득점하여야 하고
실기시험은 6할 이상 득점한 자